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[JAVA] 타입 변환, 객체
    개발 강의 정리/JAVA 2021. 5. 10. 20:42

    1. 타입변환 

    :데이터 타입을 다른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. 

     

    1.1 자동 타입 변환(묵시적 형 변환)

    :작은 크기에서 큰 크기의 타입에 저장될때 발생

     

    byte(1) < short(2) < int (4) < long (8) < float (4) < double (8)

    표현할 수 있는 범위가 실수형이 더 많기 때문에 실수형이 더 큰 타입. 

     

     

    단, byte 타입을 char 타입으로 자동타입 변환 시킬 수 없다. (강제 타입변환은 가능)

    > char 타입의 범위에는 음수값이 저장 되지 않으므로 음수값을 저장할 수 있는 byte 타입을 자동으로 형병환 시키지 못한다. 

     

    1.2 강제 타입 변환 (명시적 형 변환)

    : 강제적으로 큰 데이터 타입을 작은 데이터 타입으로 쪼개어서 저장하는 것. 

     

    System.out.println((char)d); //위의 코드에서 d를 강제 타입 변환 후 출력하면

    A 가 출력 된다. 

     

    실수> 정수

    소수점 이하 자리는 짤리고 정수부분만 저장 된다. 

     

    1.3 연산식에서의 자동 타입 변환

    : 크기가 큰 타입으로 자동 변환 된 후 연산을 수행한다.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. 객체와 클래스

    -클래스는 일종의 설계도이다.

    -클래스 안에는 객체 생성을 위한 메서드와 필드가 정의 되어 있다.

    -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해당 클래스의 인스턴스라고 한다. 

      >A 클래스에서 객체 aa 를 만들었다면 aa는 A 클래스의 인스턴스

    -인스턴스화 :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만드는 과정. 

     

    2.1 객체 생성 

     

    new 클래스명();

    클래스명()생성자이다. 

     

    new 연산자는 힙 영역에 객체를 생성 시킨 뒤에 주소 값을 리턴 시킨다. 그렇게 되면 이 주소를 저장할 변수가 필요하다. 

     

    이 주소를 참조 타입클래스 변수에 저장한다. 

     

     

    클래스명 변수명; //선언

    변수명 = new 클래스명(); //초기화. 

     

    이렇게 되면 변수는 객체의 주소를 갖게 되고 객체를 참조한다. 

     

    클래스가 하나여도 

    new 연산자를 사용한 만큼 객체가 메모리에 생성된다. 

     

Designed by Tistory.